국토교통부, 참사 항공기 ‘보잉 737-800’ 특별점검 실시

국토교통부는 참사를 일으킨 여객기 ‘보잉 737-800’에 특별점검을 실시했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사고가 발생한 보잉 737-800 기종에 대해서는 우선 국내 항공사와 특별점검을 실시해 정비시스템을 면밀히 점검할 예정이다.

항공안전 주무부처인 국토교통부는 30일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무안여객기 사고보고회’에서 이같이 밝혔다. 그는 “약 251m 거리에 방위각 시설(로컬라이저)이 설치돼 있다”고 말했다. “여수공항과 청주공항에도 콘크리트 구조물 형태의 방위각 시설이 있다.” 설명했습니다. 방위각 시설(LLZ: Localizer)은 활주로 중심선의 방향을 제공하여 활주로 진입을 보조하는 안테나 유형입니다. 흙더미 위에 콘크리트 기초와 안테나를 얹은 구조물이다. 이러한 방위각 시설을 금속 형태가 아닌 콘크리트 돌출 구조로 제작한 경우는 매우 드물기 때문에 국내외 규정을 위반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전날 제주항공 여객기가 착륙 중 방위각 시설에 부딪힌 뒤 벽에 부딪히며 항공기가 둘로 쪼개지는 참사로 이어졌다. 이에 대해 주 이사는 “방위시설은 임의로 설치할 수 없지만 설치규정이 있어 이를 이해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자료에 제한이 있는지, 사고와의 연관성이 있는지 면밀히 조사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국토교통부는 비행자료기록장치(FDR/Flight Data Recorders)와 조종실 음성기록장치(CVR/Cockpit Voice Recorder 등 블랙박스 2종)를 김포공항 시험장에 반입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국토교통부는 미국 국가교통안전위원회(NTSB)와 함께 사고 조사에 참여할 예정이며, 항공기 제조사 보잉과 2개 업체가 이날 오전 분석센터를 통해 분석 가능 여부를 확인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논의 중 NTSB는 미국과 프랑스의 합작회사인 엔진 제조사인 CFMI와 함께 이번 참사 조사를 돕기 위해 미국 조사단을 파견할 예정이다. ▲국내 모든 항공사의 737-800 항공기에 대한 특별 점검이 예정돼 있다. 아울러 국토부는 전날 사고가 발생한 B737-800 항공기 전체에 대해 특별점검을 통해 안전성 강화에 나선다. 이 모델은 국내 대부분의 저비용항공사(LCC)가 운용하고 있으며, 제주항공은 국내 항공사 중 가장 많은 항공기(39대)를 운용하고 있다. 여기에는 티웨이항공 27편, 진에어 19편, 이스타항공 10편, 에어인천 4편, 대한항공 2편이 포함된다. 국토부 관계자는 “항공기 운항률 등을 포함해 항공기 운항 전후 점검·정비 기록 등 각종 규정을 준수하고 있는지도 살펴볼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국토교통부는 이번 사고 원인 중 하나로 파악된 조류충돌과 관련해 현재 건설 중인 신공항에 대해 관련 규정을 발표했다. 강화 여부를 검토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국토부 관계자는 “공항 전략환경영향평가에는 조류 충돌 위험을 줄이기 위한 규정이 있고, 그 규정에 따라 평가를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신공항 사업에서는 새 충돌 문제를 더욱 면밀히 검토하겠다”고 덧붙였다. 이어 “보도 전문가들과 협력해 보완책을 찾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국토교통부, ‘보잉 737-800’ 전 재난 항공기 특별점검 실시(종합) https://www.yna.co.kr/view/AKR20241230045701003